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이번 회에서는 부정적 편견과 고정관념으로 이어지게 하는 사람과 상황의 특징에 대해 알아보겠다. 

     

    사람의 특징

    "어떤 집단의 사람들은 다른 집단의 사람들과 완전히 평등하지 않다. " "인생에서 앞으로 나아가려면 가끔 다른 사람들을 밟고 올라서야 할 때도 있다. " "다른 사람들보다 특히 가치 있는 사람들이 있다" 이런 말들은 사회적 지배 지향성이 높은 사람들의 말이다. 사회적 지배 지향성은 자신이 속한 집단이 다른 집단을 지배하고 그들보다 우월하고자 하는 정도를 가리킨다. 모든 사람이 평등하게 대우받아야 한다고 믿는 사람들과 달리, 사회적 지배 지향성이 강한 사람들은 가치에 따라 집단의 순위가 매겨지는 사회 체계를 선호한다. 이들은 우월한 집단이 더 부유하고 영향력이 커야 한다고 믿는다. 사회적 지배 지향성이 높은 사람들은 지위가 낮은 집단에 대한 부정적 편견과 고정관념이 있을 가능성이 특히 높다. 예를 들어 사회적 지배 지향성이 높은 백인 미국인은 흑인에게 더 심한 편견을 갖고, 흑인 단체보다 백인 단체에 더 많은 집단 자원을 배분하며, 인종 간 결혼과 동성애자의 권리를 인정하지 않는 경향이 강하고, 더 성차별적이며, 미국이 다른 나라를 지배할 수 있게 하는 정부 정책을 더 지지한다. 물론 편견을 만들어내는 사회적 지배 지향성의 영향력이 미국에만 국한되지는 않는다. 펠리시아 프래토와 동료들은 캐나다, 타이완, 중국, 이스라엘에서 사회적 지배 지향성을 측정하고 해당 국가의 시민에게 그 나라에서 지위가 낮은 집단과 여성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 물었다. 각국에서 나타난 공통점은 충격적이었다. 모든 나라에서 사회적 지배 지향성은 대개 편견의 증가와 관련 있었다. 높은 사회적 지배 지향성의 원인은 무엇일까? 사회적 지배 지향성은 자신이 속한 집단이 위협받는다고 믿을 때, 특히 자신을 집단과 강하게 동일시하는 경우에 높아진다. 지배적 집단의 일원이  일시적으로 다른 사람에게 권력을 행사할 수 있는 자리에 올랐을 때도 더 나은 사람이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많이 받아야 한다는 믿음을 받아들이는 경향이 생기거나 높아진다. 앞에서 논했듯 이런 사은 자신의 특권적 지위를 정당화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또한 정당화로 인해 자신만큼 부유하지 않은 사람들에 대한 부정적 편견과 고정관념을 경험하고 그들을 차별하기가 더 쉬워진다. 

     

    상황의 특징

    경제가 려운 상황에는 집단을 위한 자원을 얻는 일이 특히 절박해진다. 따라서 사람들이 다른 집단 사람들과 땅, 주택, 일자리 등을 두고 경쟁한다고 믿을 때 내집단 편향과 외집단 적대감이 높아지리라고 예상할 수 있다. 칼 호블랜드와 로버트 시어스는 미국 남부의 자료를 모으고 연구를 수행하면서 경제적 여건과 흑인에게 가하는 린치의 횟수에 상관관계가 있음을 밝혔다. 경제적 압은 외집단 적대감과 확실히 관련있었다. 경제 상황이 나빠지면 남부 백인들은 더 많은 흑인에게 린치를 가했다. 이러한 경향은 남부에만 국한되지 않았다. 북부 도시에서도 경제 상황이 어려워지자 흑인에 대한 폭력은 물론이고 중국 이민자에 대한 폭력도 증가했다. 사실 영국 사람이 서인도제도 사람들을 싫어하든, 네덜란드 사람이 터키와 수리남 사람을 싫어하든, 프랑스 사람이 북아프리카 사람을 싫어하든 부정적 편견과 고정관념은 "경쟁자를 표적으로" 삼을 때가 많다는 걸 알 수 있다. 사람들은 그때그때 자신과 경쟁한다고 생각하는 집단을 향해 적대감을 표출한다. 또한 최근에 수행된 일련의 연구에서 드러나듯 경쟁은 집단 간의 차이를 더욱 부각한다. 한 연구에서 경제적 어려움과 빚에 대해 생각하도록 점화된 백인 참가자들은 혼혈인 사람의 얼굴을 보고 흑인으로 분류하는 경향이 통제 조건의 참가자에 비해 높았다. 

     

    사람과 상황간 상호작용

    경쟁과 적대감은 더욱 심한 경쟁과 적대감을 낳는다. 다른 사람들을 경쟁자로 볼수록 더 경쟁하고, 처음에 두려워한 경쟁 상황을 자신도 모르게 불러일으키고 부추기게 된다. A와 B라는 두 집단이 어떤 자원을 서로 차지하려고 한다고 해보자. B집단이 경쟁적이고 적대적인 방식으로 행동하면, A집단은 이를 위협으로 간주해 경쟁적이고 적대적인 방식으로 대항한다. 이렇게 되면 B집단도 A집단을 위협으로 간주하게 된다.서로 공동의 자원을 놓고 다투는 경쟁자로 보게 되면서 집단들은 스스로 두려워하던 경쟁을 초래하거나 강화하는 방식으로 행동하기 시작한다. 이러한 자기충족적 순환은 빠르게 형성돼 집단 사이에 끈질기고 극심한 적대감을 만들어낼 수 있다. 경쟁에 관여한 사람들이 상대편의 계획을 적대적이라고 확신할수록 이러한 자기충족적 예언이 순식간에 경쟁을 심화해 악순환을 일으킨다. 이러한 과정은 집단 차원에서 특히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자원을 차지하기 위한 집단 간 경쟁이 개인 간의 경쟁보다 치열하기 때문이다. 집단 간 경쟁의 자기충족적 순환에서 우리는 기본적 형태의 사람과 상황간 상호작용을 발견할 수 있다. 

    • 첫째, 경쟁력 상황은 서로 거의 믿지 않는 경쟁적 사람과 집단을 만들어내는데, 이 현상은 상황이 사람을 바꿀 수 있다는 점이다
    • 둘째, 경쟁적이고 서로 신뢰가 없는 사람이나 집단은 훨씬 경쟁적이고 적대적인 상황을 만들어내며, 이것은 사람이 상황을 바꿀 수 있는 사례에 해당한다. 

    이와 같이 경쟁적 악순환이 중동의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사람들처럼 집단 간의 집요한 증오를 어떻게 만들어 내는지 이해하기는 그리 어렵지 않다. 이번 회에서는 부정적 편견으로 이어지게하는 사람과 상황의 특징과 상호작용에 대해 알아보았다.

    반응형